2023년 6월 실시예정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알아보기

윤석열대통령의 대선공약 중 하나였던 청년도약계좌가 23년 6월에 실시예정입니다. 이번 게시글을 통해 청년도약계좌의 정의, 신청방법, 신청조건, 활용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란 한마디로 청년들의 목돈만들기를 정부가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5년간 매월 40~70만원을 저금하면 '은행이자 + 3~6%'를 정부가 5천만원까지 지원을 해줍니다. 또한, 추가적인 혜택으로 15.4%의 이자・배당소득세를 감면해줍니다. 다시 말 해, 2가지의 혜택이 있는 계좌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3~6%의 추가 이자혜택

  2. 15.4%의 이자・배당소득세 감면혜택

이해하셨나요? 그렇다면 청년도약계좌를 보기쉽게 표로 정리해볼게요.

청년도약계좌-세부설명표
청년도약계좌-세부설명


오늘자 기준(23년 2월)으로 아직 은행이자와 가입시작일이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또한, 공무원 가입여부, 청년희망적금과의 중복여부 등 또한 정해진 바가 없습니다. 근거없는 추측에 주의하세요! 추후에 금융위원회에서 정확한 공지가 나오면 관련한 포스팅 업로드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알아야할 것은 가입조건이겠죠?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을 헷갈려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제가 헷갈리지 않게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일단 조건은 크게 연령 소득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연령

청년도약계좌이므로 '청년'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대한민국의 청년 조건인 만 19~34세인 대한민국 국적인이 해당이 됩니다. 단, 병역기간은 별도이므로 참고하세요.

병역기간이 별도라는 의미는 군 생활 2년을 빼준다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내가 만 35세 군필자면 만 33세로 계산하여 가입이 가능하게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2) 소득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것이 소득입니다. 아까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청년도약계좌는 2가지 혜택이 있는데, 소득구간에 따라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내용이 달라집니다.

내가 청년이면서 소득이 7,500만원 이하(종합소득액 6,300만원 이하)이면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단, 소득이 7,500만원은 안되지만 6,000만원이 넘는다면 정부에서 3~6% 이자를 가산해주는 일명 '매칭지원금'은 받을 수 없습니다. 이자・배당소득세 감면 혜택만 받을 수 있는 것이죠.

내가 청년이면서 소득이 6,000만원 이하이고, 가구소득이 중위 180% 이하라면 정부의 '매칭지원금'과 이자・배당소득세 감면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이해되셨나요? 그럼 정리해볼게요.

청년도약계좌-소득별혜택
청년도약계좌-소득별혜택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가 어느정도인지도 알려드릴게요.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기준금액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기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가 해당하는 가구에서 이 기준금액 이하로 벌고 있다면 정부의 '매칭지원금' 신청이 가능해집니다.

가구소득-중위-180%-기준금액
가구소득-중위-180%-기준금액

  청년도약계좌 활용방법

금융위원회 추산 청년도약계좌를 이용할 수 있는 청년은 306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합니다. 이 수많은 청년들이 이 제도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아직 제도가 완벽히 공개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벌써부터 완벽한 전략을 구축하기는 곤란하지만 대략적인 청사진은 그려볼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크게 예적금, 자산투자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1) 예적금

청년도약계좌는 가산이자와 가산이자의 소득세가 감면되기 때문에 예적금 할 때 혜택이 큰 편입니다. 5천만 원 까지는 비과세로 저축을 할 수 있는 셈이니까 말이죠. 

2) 자산투자

예적금을 좋아하지 않는 투자족에게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무려 15.4%에 해당되는 배당소득세가 감면 조건이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만약 국내 배당주 투자를 생각하고 있다면, 청년도약계좌가 큰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이 외에도 국내 펀드나 국내 상장주식에도 투자가 가능하다고 하니 예적금을 싫어하는 투자족도 들여다 볼 필요가 있는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오늘은 2023년 6월에 시행예정인 청년도약계좌의 정의, 가입조건, 활용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어떻게 잘 이해가 되셨나요?
청년도약계좌를 자신의 상황과 소득, 시중은행의 금리 등을 잘 고려하여 지혜롭게 이용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만 마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