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자동차세 조회, 연납, 납부기간, 할인팁 등 총 정리
안녕하세요? 6월은 여러가지 세금을 납부해야하는 달입니다.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면, 자동차세도 납부하셔야 하는데요. 오늘은 자동차세 조회, 연납, 납부기간, 할인받는방법 등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자동차세란?
쉽게 말해서 자동차세는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으면 내야하는 세금'입니다. 자동차세는 자동차 가격과는 무관하며, 자동차의 배기량, 운행년수 등에 따라 다르게 산정됩니다. 즉, 같은 배기량과 연식이라면 국산차와 고급외제차가 동일한 세금을 부과받습니다.
배기량(cc)에 따라 자동차세가 책정되며, 거기에 지방교육세가 추가되어 최종 자동차세가 산정이 됩니다. 참고로 전기차의 경우에는 배기량이 없어 모두 13만원(지방교육세 3만원 포함)으로 동일합니다. 각 cc별 자동차세는 는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 1000cc (모닝, 레이 등) : 10만원
- 1600cc (아반떼, K3 등) : 29만원
- 2000cc (쏘나타, k5 등) : 52만원
- 2500cc (그렌져, GV80등) : 65만원
- 3500cc (카니발 등) : 90만원
또한, 자동차세는 자동차를 최초등록한 후 3년차부터 매년 5%씩 최대 50%까지 경감이 가능합니다. 다시 말해, 차를 오래탈수록 자동차세를 절약할 수 있게됩니다.
WETAX 홈페이지의 '미리계산'탭에 가시면 배기량별로 주요 차량들의 자동차세를 미리 계산해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납부방법
자동차세는 서울시 거주자는 ETAX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그 외 지역 거주자는 WETAX홈페이지에서 납부가 가능합니다. 자동차세 납부기간에 홈페이지에 납부 버튼이 생기며, 본인인증 후 간단히 납부가 가능합니다.
납부기간
자동차세는 1년에 2번(6.16~30, 12.16~30)에 납부하게 되어 있습니다. 납부기한을 놓치면 3% 가산금이 추가됩니다. 미납된 상태로 계속있게되면, 해당 자동차의 번호판을 압수해가는 '번호판 영치 조치' 등의 불이익이 발생하니 제때 납부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단, 자동차세가 1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6월에 한 번만 납부 가능)
자동차세 분납
자동차세를 한 번에 납부하는게 부담스러운 분들 위해 나눠서 내는 분납제도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분납신청은 마찬가지로 WETAX와 ETAX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2분기 분납은 3월에 4분기 분납은 9월에 진행됩니다.
자동차세 연납
자동차세 연납은 자동차세를 한꺼번에 선납하여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게하는 제도입니다. 자동차세를 할인받을 수 있는 첫번째 방법이기도 합니다. 연납신청도 마찬가지로 WETAX와 ETAX홈페이지에서 1월, 3월, 6월, 9월에 신청이 가능하며, 1월에 신청하여 연납하는 것이 가장 높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도 신청기간과 세액공제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 1월 : 1.16~31 / 6.4% 공제
- 3월 : 3.16 ~ 31 / 5.2% 공제
- 6월 : 6.16 ~ 30 / 3.5% 공제
- 9월 9.16 ~ 30 / 1.7% 공제
공휴일은 신청이 불가하며, 연납신청 후 미납하여도 불이익이 없으니 무조건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세액공제비율이 매년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올해까지는 은행이자율보다 세액공제율이 높기 때문에 연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연납신청을 하여 연초에 6월 ,12월 자동차세를 모두 납부하였는데, 차를 팔거나 폐차한 경우에는 잔여일수를 계산하여 자동차세를 환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 외 자동차세 할인Tip
그 외에 자동차세를 할인받을 수 있는 방법은 신세계 상품권, 승용차 요일제(승용차 마일리지 제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신세계 상품권
신세계 상품권을 통해 할인을 받는 것은 서울거주자만 해당된다는 점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ETAX홈페이지에서만 가능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먼저, 신세계상품권을 중고거래 등으로 저렴하게 구매합니다. 보통 시중가격은 상품권 금액에 비해 3~5% 저렴한 금액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상품권을 구매한 뒤 SSG앱을 통해 SSG머니를 충전합니다. 그 후 ETAX에서 SSG머니를 ETAX마일리지로 전환 후 납부하시면 됩니다. 간단하게 자동차세를 3~5% 할인받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2) 승용차 요일제(승용차 마일리지 제도)
승용차 요일제에 동참하는 차주분이시라면 지역별로 5~10%까지 자동차세가 감면이 가능합니다. 대전과 부산의 경우 10% 감면되며, 인천, 울산, 대구지역의 경우 5% 감면됩니다.
서울시의 경우에는 승용차요일제가 폐지되고 '승용차 마일리제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적립된 마일리지로 자동차세 납부가 가능합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자동차세 조회, 납부기간, 납부방법, 할인팁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모든 할인팁(세액공제, 신세계상품권, 요일제 등)을 다 적용하면 이론적으로 최대 25%정도까지 할인을 받으실 수 있게 됩니다. 거기에 연식에 따른 할인까지 더해지면 더욱 많이 절세를 할 수 있을겁니다.
세금은 당연히 내야하는 것이지만 똑똑하게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정보글로 찾아뵙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